[Linux] CentOS에서 Telnet 서버 사용하기
Telnet (텔넷)
원격으로 멀리 있는 컴퓨터 등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을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서버가 있는 컴퓨터와 물리적인 거리가 아무리 멀어도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럼 VMware에 구축한 CentOS 환경에서 Telnet 서버를 구축하고 VMware에 구축한 Window에서 Telnet 클라이언트로 접속하는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Telnet 서버 만들기
Step01. Telnet 서버 설치
먼저 yum을 사용해 Telnet 서버를 설치해줍니다.
/* 두 명령어 중 아무거나 해도 됨 */
yum -y install telnet-server // 물음에 자동으로 Yes라고 답해 줌
yum install telnet-server // 물음에 직접 Yes응답 해줘야 함
아래 사진처럼 Complete! 가 출력되면 설치가 잘 된 겁니다.
Step02. Telnet 서버 가동
Telnet 서버를 설치했으면 사용해주어야겠죠?
아래 명령어로 서버를 가동해줍니다.
/* 두 명령어 중 아무거나 해도 됨 */
systemctl restart telnet.socket // 서비스가 시작하지 않았으면 시작, 시작되어 있으면 재시작
systemctl start telnet.socket // 서비스를 시작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으면 서버가 잘 가동된 겁니다.
Step03. Telnet 서버 상태 확인
혹시 모르니 서버의 상태를 확인해줍니다.
systemctl status telnet.socket
연두색으로 된 active가 보이면 Telnet 서버가 잘 구동되고 있단 뜻입니다.
Step04. Telnet 사용자 생성
Window환경에서 클라이언트로 접속할 사용자를 추가해줍니다.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는 마음대로 정하면 됩니다.
adduser [사용자 이름] // 사용자 이름은 자신이 원하는 대로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설정해줍니다.
passwd [사용자 이름] // 위에서 만든 사용자 이름
위 명령어를 입력하고 새 암호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재입력까지 해줍니다.
Step05. 방화벽 열기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방화벽 설정 창이 나옵니다.
firewall-config
1 : 런타임으로 되어 있는 설정을 영구적으로 바꿉니다.
2 : public 영역을 선택한 상태에서 telnet서비스를 찾아서 체크해줍니다.
3 : 옵션에서 Firewalld 다시 불러오기를 클릭합니다.
4 : 잠시 기다렸다가 설정창을 닫아줍니다.
이제 외부에서 이 Telnet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상태입니다.
Step06. Window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접속
Window운영체제가 설치된 가상환경에 접속합니다.
시작버튼에서 우클릭을 하고 제일 위의 프로그램 및 기능을 클릭합니다.
1 : Windows 기능 켜기/끄기를 클릭합니다.
2 : 텔넷 클라이언트를 체크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설정이 완료되면 창을 닫습니다.
시작버튼에서 우클릭을 하고 제일 위의 명령 프롬프트을 클릭합니다.
telnet 클라이언트를 실행하기 위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 참고로 서버의 IP주소는 서버의 명령 프롬프트에서 ifconfig명령어를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telnet [서버의 IP주소]
클라이언트를 실행 후 Step04에서 만든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통해 Telnet에 접속하면 끝입니다.
원격으로 접속했기 때문에 서버에서 작업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