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테스트/Programmers (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 124 나라의 숫자 - Javascript (Lv.2)

지윤공원🌳 2021. 5. 1. 05:32
728x90

📖 문제 설명

124 나라가 있습니다. 124 나라에서는 10진법이 아닌 다음과 같은 자신들만의 규칙으로 수를 표현합니다.

  1. 124 나라에는 자연수만 존재합니다.
  2. 124 나라에는 모든 수를 표현할 때 1, 2, 4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서 124 나라에서 사용하는 숫자는 다음과 같이 변환됩니다.

10진법 124 나라 10진법 124 나라
1 1 6 14
2 2 7 21
3 4 8 22
4 11 9 24
5 12 10 41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을 124 나라에서 사용하는 숫자로 바꾼 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 제한조건

  • n은 500,000,000이하의 자연수 입니다.
result
1 1
2 2
3 4
4 11

 

💻 나의 코드

function solution(n){
    let answer = ''; // return할 문자열 변수 초기화
    let len = 3; // len에 3을 초기화 (124, 3개의 수 사용하기 때문에)
    while (n > 0) { // n이 1 이상일 때만 반복문 수행
        switch (n % len) { // n을 len으로 나눈 나머지에 따라 case문 들어감
            case 0: // n을 len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인 경우
                answer = '4' + answer;
                n = (n / len) - 1;
                break;
            case 1: // n을 len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인 경우
                answer = '1' + answer;
                n = Math.floor(n / len);
                break;
            case 2: // n을 len으로 나눈 나머지가 2인 경우
                answer = '2' + answer;
                n = Math.floor(n / len);
                break;
        }
    }
    return answer;
}

 

🎤 코드 설명

  • return할 변수인 answer 문자열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화합니다.
  • 1, 2, 4 이 세 개의 숫자만 사용하기 때문에 len을 3으로 초기화합니다.
  • n이 0보다 클 때만 while반복문을 수행합니다.
    • switch분기문에서 n % len의 값에 따라 case를 고릅니다.
      • n을 len으로 나눈 나머지가 0이면 answer에 일단 '4'를 더하고 그 전 answer를 누적합니다. 
      • n을 len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이면 answer에 일단 '1'를 더하고 그 전 answer를 누적합니다. 
      • n을 len으로 나눈 나머지가 2이면 answer에 일단 '2'를 더하고 그 전 answer를 누적합니다. 
      • 모든 case문에선 break문을 사용해서 다른 case를 수행하지 않도록 합니다. 
  • answer를 return합니다.

 

📜 채점 결과

정확성: 70.0

효율성: 30.0

합계: 100.0 / 100.0

 

💬 배운 것

  • 무작정 코딩하는 것이 아니라 규칙을 찾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인 거 같습니다.
  • 경우의 수에 따라 연산을 다르게 하고 테스트 케이스를 직접 만들어 보면서 코딩하면 이해가 잘 됩니다. 

 

 

 

코딩테스트 연습 - 124 나라의 숫자

 

programmers.co.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