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보안

OSI 7계층이란?

지윤공원🌳 2021. 7. 3. 06:12
728x90

OSI 7계층 (OSI 7 layers)

OSI 7계층이란 OSI 참조 모델이라고도 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것입니다.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여러 충돌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국제표준화기구 ISO에서 표준환된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한 것이 OSI 7계층입니다. 비슷한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끼리 동일계층으로 분할한 결과 7개의 계층이 생성되었습니다. 

 


이렇게 계층을 분리함으로서

  • 각 OSI 계층은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데이터의 흐름이 한 눈에 파악됩니다.
  •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떤 계층에 문제가 생겼는지 쉽게 파악을 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물리 계층 (Physical)

물리 계층은 물리적 매체(동축케이블 등)을 통해 비트 흐름을 전송하기 위한 기능들을 조정하는 역할입니다. 물리적으로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전기적, 기계적인 신호를 주고받으며 0, 1로 통신합니다. 데이터의 오류를 제어하지 않습니다.
대표 프로토콜 : ethernet, RS-232C

장비 : 허브, 리피터, 동축 케이블, 모뎀 등

데이터 단위 : 비트(bit) -> 0, 1

⭐요약 : 비트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두 장치(노드) 사이의 데이터 수신과 송신을 담당하며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는 역할입니다. 물리 계층에서는 따로 오류를 제어하지 않기에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오류를 폐기, 재전송합니다. 
대표 프로토콜 : PPP, SLIP, MAC, FDDI

장비 : 브리지, 스위치 등

데이터 단위 : 프레임(Frame)

⭐요약 : 오류 제어, 재전송, 흐름제어 역할

 

네트워크 계층 (Network)

패킷을 발신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역할입니다. 라우팅을 통해 최적의 경로를 설정합니다. 간단히 말해 연결과 경로 선택을 담당하는 것입니다. 
대표 프로토콜 : IP, ICMP, ARP, RARP, X.25
장비 : 라우터
데이터 단위 : 패킷(packet)

⭐요약 : 주소(IP)부여, 경로설정(Routing)

 

전송 계층 (Transport)

데이터가 오류 없이 순서대로 전송되도록 관리하고 메시지 분할, 재조립, 정보 흐름 수정 등을 담당합니다. 종단 간(End to End) 연결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대표 프로토콜 : TCP, UDP, SSL, SCTP
장비 : 게이트웨이
데이터 단위 : 세그먼트(Segment)

⭐요약 : 패킷 생성 및 네트워크 연결에 필요한 정보 전송

 

세션 계층 (Session)

응용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제어와 동기화를 담당합니다. 전송에 필요한 제어 기능을 표현 계층에 제공하며, 통신 기기를 선택하고 오류를 복구하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대표 프로토콜 : SSH, RPC, TLS
데이터 단위 : 메시지(Message)

⭐요약 : TCP/IP 세션을 만들고 없애며 제어 기능 제공

 

표현 계층 (Presentation)

데이터를 변환하는 계층입니다. 암호화를 하거나 코드 간의 번역을 통해 데이터 형식상의 차이를 줄여 응용 계층이 해석하기 편하도록 만듭니다. 
대표 프로토콜 : JPEG, MPEG, GIF, ASCII, SMB
데이터 단위 : 메시지(Message)

⭐요약 : 암호화, 데이터 압축 등 표현 양식 변환

 

응용 계층 (Applicaation)

사용자와 맞닿은 최상위 계층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네트워크와 연결시킵니다. 우리가 잘 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메일 전송, 데이터베이스 관리, 원격 파일 접근 등 서비스들을 제공합니다. 
대표 프로토콜 : HTTP, HTTPS, FTP, POP3, Telnet, SMTP, IMAP, DNS
데이터 단위 : 메시지(Message)

⭐요약 : 사용자와의 입출력 담당, UI부분

 

 

 

참고한 자료

https://jhnyang.tistory.com/194

https://velog.io/@dyllis/OSI-7%EA%B3%84%EC%B8%B5-%EC%A0%95%EB%A6%AC

https://reakwon.tistory.com/59

728x90

'네트워크&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브넷 마스크란?  (0) 2021.07.14
대칭키 암호화  (0) 2021.07.08
비대칭키 암호화  (0) 2021.07.06
암호화(Encryption)와 해시(Hash)의 차이  (0) 2021.07.04
IP주소란?  (0) 2021.07.02